본문 바로가기

Linux/CentOS

VNC 접속

원격 접속 - VNC
 
 
  • Virtual Network Computing
 
  • GUI 환경의 원격 접속
 
  • VNC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격 접속 환경 제공
> 리눅스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마다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수업에서는 tigervnc 프로그램 사용
 
  • 정보
패키지        : tigervnc-*
데몬            : X
방화벽        : port=599+@/tcp            * 5900에 session number를 더한 값이 port 번호
설정파일    : X
 
 
데몬 설치
 
yum -y install tigervnc-*

 

설치 후
 
# vncserver 명령어 입력
 
 

 

비밀번호 설정
 
 

 
server:1 -> session 번호를 의미하고 이 번호를 알고 있어야지 나중에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vnc 접속
 
-> 에러 발생 ? 이유 : putty 프로그램은 window의 gui 프로그램이지만 안은 CLI이다. ->워크스테이션 gui 환경에서 해줘야 한다. 터미널에서 다시 입력

 

 

vnc 접속한 화면

 

폴더 생성하면 자동으로 같이 만들어진다.

 

GUI 환경 자체에서 프로그램 - 인터넷 메뉴에 tigervnc 실행 

 

비밀번호 입력 후 똑같이 사용 가능

 

vcnserver list 확인 가능

 

  • vnc 관련 명령어
 

1. vncserver : session 생성 및 관리를 위한 명령어 

 
vncserver    > 가장 빠른 번호의 session 생성
vncserver :숫자 > 해당 번호의 session 생성
vncserver -list > 현재 생성되어 있는 session 확인 가능
vncserver -kill :숫자 > 해당 session 종료
 
 

 

 

2. vncviewer : vnc 접속(VNC client에서 사용)

 

vncviewer <접속할 IP:session>

 

* IP : 뒤에는 port 번호가 와야 하지만 vnc가 session 번호에 5900을 더하여 port 번호로 계산한 후에 접속 

port 번호로 계산한 후에 접속(session -> port 자동 계산은 5999번 port 까지 사용 가능)

 
3. vncpasswd : VNC 접속에 사용하는 암호 변경 
 
 

암호 재지정 가능

 

 

 
vnc를 접속하고 나면 .vnc라는 숨김 파일이 생기는데 그 안쪽에 여러 파일들이 들어 있음

 

 

 

 
 
 

 

cd /root/.vnc

ll

 

 
 
cat passwd
 
-> 설정한 비밀번호가 암호화 되어 저장

 

-> passwd 파일을 삭제한다면?

 

 

 

 

 
-> passwd 파일 삭제 시에는 접속이 안됨(vnc는 무조건 암호가 있어야 접속이 가능하다는 사실 발견)

 

vncpasswd로 다시 설정해주면 된다.

 

 

 

cat *:1.pid -> session의 pid 확인 가능

 

각각 명령어마다 동일한 PID 조회 가능

-> 정상적인 종료를 할 때는 PID 파일은 알아서 사라진다. 

 

 

※ log 파일 확인
 
vi로 *:1.log 파일을 열고

 

10  vncext:      Listening for VNC connections on all interface(s)        , port 5901 -> port 번호를 확인해준다.
 
 
19  Connections: accepted: 192.168.10.128::53268(client port number)
 
-> 어떤 ip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접속했는지 확인
 
Connections: closed: 192.168.10.128::53268 (Clean disconnection) -> 끊어짐
 
 
gui 접속 시도
 
64  Connections: accepted: 192.168.10.128::53270
 
74  Connections: closed: 192.168.10.128::53270 (Clean disconnection) -> 끊어짐
 
 
passwd 없애고 접속 시도
 
93  Connections: accepted: 192.168.10.128::53312
 

 

101  Connections: closed: 192.168.10.128::53312 (No password configured for VNC

 

-> log 파일에 기록이 전부 다 남는다. 

 

(연습)

 

스냅샷 돌리고 client -> server vnc 연결하기 (101번 session 사용)

 

 

-> server 측에 vncserver 설치 후 101 session을 연다.

 

-> 다른 가상 머신인 client와 통신하기 때문에 방화벽을 열어주어야 한다. 

 

 

client쪽에 tigervnc 설치

-> vncviewer ip주소 + 포트번호 적어주면 잘 접속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 mount  (2) 2022.08.28
FTP  (2) 2022.08.28
SSH 접속  (0) 2022.08.27
네트워크 관련 리눅스 명령어  (0) 2022.08.27
Client 환경설정  (0) 2022.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