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CentOS

auto mount

Glory-L 2022. 8. 28. 17:48
- 기본적으로 마운트 한 모든 장치는 시스템 종료 시 전부 마운트 해제
>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도록 설정 되어 있는 장치들만 마운트 된 상태로 부팅
 
- 다른 장치를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도록 설정하는 파일 : /etc/fstab
>OS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생성되고 설정 되어 있는 파일
 
-> 주석을 제외하고 3줄 내용이 어떻게 들어가 있는지 알고 문구 입력 후 재부팅까지 해야함
 
 
- /etc/fstab 파일 내용 형식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장치의 fstype                 마운트옵션               dump 운용            부팅 시 fsck 동작
 

 

* 형식 설명
장치명 : 오토마운트 할 장치의 이름을 절대경로로 작성
  현재는 기본 설정된 장치들이 장치명이 아닌 UUID로 작성(IDE 관련 버그 때문에)
   

 

* UUID : 장치의 고유 값
 
마운트 포인트 : 장치를 오토마운트 할 디렉토리의 이름을 절대경로로 작성
장치의 fstype : 오토마운트 할 장치의 파일시스템 형식을 작성
 
마운트 옵션 : 오토마운트를 하면서 적용시킬 마운트 옵션 작성(defaults : 기본적인 옵션들을 모아놓은 옵션)
 
dump 운용(데이터 백업 운용) : 장치의 dump를 사용할 것인지 확인(0 : 사용 안함, 1 : 사용)
> CENTOS 7 버전부터는 0으로 고정(systemd가 알아서 사용)
부팅 시 fsck 동작 : 부팅 시 filesystem(=partition)의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
(0 : 사용 안함, 1 : root partition, 2 : other partition)
> 단, CentOS 7 버전부터는 0으로 고정(systemd가 알아서 check)
* fsck : filesystem check
 
 
 
CENTOS 6버전으로 올라면서 IDE 관련 버그가 생김
 
IDE -> hdX
SCSI -> sdX
 
-> 버전이 올라가면서 hdX 단종 sdX로 통합 그러면서 생성될 때 고유 번호가 생기는 데 랜덤하게 생성되는 오류 발생
 
그래서 UUID로 각각의 값을 지정해서 사용해주기로 했다.
 
 

 

 

 

※ server 머신 초기화 후 HDD 1GB(SCSI) 추가 하여 연습

 

partition                           mount point

 

100MB                            :    Linux                   

200MB                            :    Clang                     

200MB                            :    Ms                        

300MB                            :    Net                      

200MB                            :    Anon

 

primary, extend, logical로 각각 분할 -> logical은 extend로 파티션 할 경우에 사용 가능

 

오토 마운트 한 후 마운트 정보(df   -h) 출력하여 확인

 

 

1GB 추가

 

하드디스크 들어있는지 확인
파티션 설정
Primary 100M 추가
Primary 200M 추가

 

Primary 200M 추가
extend로 나머지 남아 있는 용량 500M정도를 잡는다.
logical partion 300M 추가
남아 있는 용량 전부 logical로 파티션
파티션 리스트 확인
저장하고 나간다

 

※ 항상 마운트 하기 전에 mkfs.(파일형식) (경로명) 으로 포맷 해주고 마운트를 진행한다.

 

ext4나 xfs로 해주면 되는데 좀 더 압축률이 좋은 xfs로 진행하려 한다. 

 

sdb1 ~ sdb6까지 파일을 포맷

 

※ extend는 포맷 대상에서 제외

 

 

blkid -> 파티션이 어떤 file system으로 포맷 했는지 알려주는 명령어
 
-> 목록에 없으면 파티션이 되지 않은 것이라고 판단 -> 포맷이 뭐가 남았는지 헷갈리지 않을 수 있음

 

 

마운트 포인트 생성

 

마운트

/etc/fstab vi편집기로 열고 오토 마운트 포인트 지정 

 

 

-> 재부팅 후 df -h로 오토마운트 여부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