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3 - 3
※ XP와 GNS-3 연결
- VMware로 XP를 구동하고 GNS3를 켠 후 VMNET 2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한다.
※ cisco 통신 장비
평문 | 암호문 | |
CLI 환경 | Telnet(tcp23) | SSH(tcp22) |
GUI 환경 | http(tcp80) | https(tcp443) |
-> 4개의 ROUTER 장비를 연결하려고 할 때 중간에 Switch라는 장비로 PC와 연결해줘야 통신이 가능하다.
Cisco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해주는 Switch 장비를 사용해서 연결해보고자 한다.
※ Window 네트워크 설정 - 단축키 ncpa.cpl
※ 이제 router 장비를 켜고 연결해보려 하는데 그 전에 한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다. PC의 상황에 따라 버벅거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gns3의 상단의 재생 버튼이 아니라 장비 하나씩 재생을 눌러주면서 VMware와 상황을 맞춰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router 각 장비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하면 Auto idle PC 라는 옵션이 있는데 이를 각 장비마다 해주면 vmware와 통신할 때 속도 측면에서 확실히 빨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장비 실습을 할 때마다 켜주는 것을 추천한다.
설정이 제대로 완료 되었다면 확인 명령어 입력해서 장비의 연결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인접 라우팅 장비에 ping을 보내서 통신이 잘 되는지 확인
※ 핑은 ' ! '가 여러개 뜨면서 확인이 가능한데 앞에 '.'이 처음에 뜨는 이유는 routing lookup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한번 더 핑을 날리면 정상적으로 수신한다.
※ Telnet으로 접속하기
- Telnet : CLI환경 창으로 장비 시스템에 접속하는 것
-> 이러한 설정을 회사 내부에다 구성을 해보고자 한다.
-> 더블 클릭하면 접속이 되긴 하는데, 아직 R1 장비에 아무런 설정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secureCRT에서 설정을 해줘야 한다.
* R1 장비 - show run 입력
-> 중간쯤에 내리다 보면 Cisco는 interface라고 지정한 곳에서 케이블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또한 웹 통신 설정도 있다.
※ vty 설정을 통해 telnet을 구현
* line 명령어를 통해 vty 연결이 가능하고 0 4 는 0 ~ 4까지 5개의 세션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 telnet으로 해보겠다.
* Cisco router telnet 구성 명령어
(설정 1 - telnet password 설정 )
conf t
line vty 0 4
transport input telnet
pass cisco
login local
end
show run | se line vty
show use (확인 작업)
show tcp brief (확인 작업)
-> telnet을 접속하는 것이 일반 유저일 수 있는데 이때 등급이 15이면 관리자와 동등한 권한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상 좋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유저를 따로 생성하고 등급을 부여해서 그 계정으로 접속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설정 2 - 계정 생성하기 )
R2(config)#username admin privilege 15 password cisco
R2(config)#username guest privilege 5 password cisco
R2(config)#line vty 0 4
R2(config-line)#login local ---> 인증서버
show run | se line vty 0 4
show run | in username
-> 각 회사 장비들마다 어느 권한까지가 어떤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지는 장비 회사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검색을 통해 알아봐야한다.
※ 서로 간의 통신 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