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GNS3

GNS3 - 8

Glory-L 2022. 9. 15. 23:57

저장한 폴더 불러온 후 구동

 

all session으로 show ip int b, show route, show cdp nei 명령어로 설정이 잘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s1, s2에 stub network ip 설정해주기

※ 내가 stub network 추가 명령어를 잘 입력했나 확인하고 싶다면 show running-config | include ip route 명령어 입력

 

※ 설정을 저장 안하고 종료했기 때문에 복습 차원에서 각 장비마다 static route 경로 설정을 해준다. 

 

※ secureCRT의 Edit 탭에 paste를 이용해서 복사 붙여넣기 하면 쉽게 적용할 수 있다. 

 

S1
ip route 0.0.0.0 0.0.0.0 11.1.1.254
S2
ip route 0.0.0.0 0.0.0.0 22.1.1.254 
R1
ip route 22.1.1.0 255.255.255.0 1.1.12.2
R2
ip route 22.1.1.0 255.255.255.0 1.1.27.7
ip route 22.1.0.0 255.255.0.0 1.1.23.3 
ip route 11.1.1.0 255.255.255.0 1.1.12.1


R3
ip route 22.1.1.0 255.255.255.0 1.1.37.7
ip route 22.1.0.0 255.255.0.0 1.1.34.4

ip route 11.1.1.0 255.255.255.0 1.1.23.2
ip route 11.1.0.0 255.255.0.0 1.1.37.7

R4
ip route 22.1.1.0 255.255.255.0 1.1.45.5
ip route 22.1.0.0 255.255.0.0 1.1.47.7
ip route 11.1.1.0 255.255.255.0 1.1.47.7
ip route 11.1.0.0 255.255.0.0 1.1.34.3

R5
ip route 22.1.1.0 255.255.255.0 1.1.56.6
ip route 11.1.1.0 255.255.255.0 1.1.57.7
ip route 11.1.0.0 255.255.0.0 1.1.45.4

R6
ip route 11.1.1.0 255.255.255.0 1.1.56.5

R7
ip route 22.1.1.0 255.255.255.0 1.1.57.5
ip route 22.1.0.0 255.255.0.0 1.1.47.4
ip route 11.1.1.0 255.255.255.0 1.1.27.2
ip route 11.1.0.0 255.255.0.0 1.1.37.3

 

-- 확인 명령어 --
show run | in ip route 
show ip route 

 

================= 참고하기 ===========================================

 

설정이 끝나고 ping 명령어를 실행하면 routing lookup 과정이 끝난 뒤 통신이 ' ! ' 로 잘 확인된다.

 

어떤 라우터를 통해서 갔는지 경로 확인을 위해 traceroute 명령어를 실행했다.

 

현재 가는 방향을 조회 했을 때 아래와 같은 경로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다른 경로로 가고 싶다면? 인터페이스  shudown 시키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경로 우회) 

 

R2에서 shudown 실행
R3까지는 도달하는데 그 이후부터 핑이 계속 연기되고 있었다.

 

※ R3에 가서 설정을 확인한다. 

 

등록된 route 경로 확인 후 핑을 보냈을 때도 이상은 없었다.

 

 

※ 문제점을 찾아보니, static routing 방식에서는 인터페이스를 한쪽 장비만 끊으면 다른 한쪽 장비가 망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연결된 다른쪽의 인터페이스 역시도 직접 끊어야 한다. 

 

R7에서 R2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shutdown 해주었다.

 

 

traceroute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R3 -> R7 -> R5 -> R6 순으로 넘어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hutdown을 풀어서 원래의 경로로 잘 가는지 확인해준다.

 

 

※ no shut 방식이 아니라 아예 routing table에서 가는 주소를 지운 후 trouble shooting 해보기

 

- no 명령어로 위의 R2의 주소를 지워본다.

 

S1에서 S2로 핑을 보냈는데 잘 나간다(?)

 

※ 경로를 하나만 지워서 다른 남아 있던 다른 경로로 floating해서 넘어가기 때문에 핑이 전달 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가는 경로를 모두 지운다. 

 

나머지 경로까지 지워준다.

 

다시 핑을 보내니 안나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핑이 나가지 않는 상황까지 만들었다. 이제 trouble shooting을 차근히 해나가보자. 

 

1. S1에 show ip int b 명령 - 자신의 ip가 있는지 확인한다. 

2. show ip route - 목적지 ip가 있는지 확인한다. 

 

잘 설정되어 있다.

 

3. 인접한 장비의 주소로 ping을 보내서 잘 가는지 확인한다. 

 

 

4. traceroute로 어떤 경로에서 못가는지 확인한다. 

 

R2에서 막혀 있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R2에 라우터 테이블을 확인해보니 S2인 22.1.1.0의 경로 설정이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시 라우팅 경로를 추가해준다.

 

경로 탐색을 다시 해보면 잘 나가는 모습 확인(trouble shooting 과정 끝)

 

 

※ 각 라우터에 서버가 보통 한대 이상씩 있기 때문에 추가 했을 때 상황을 만들어 본다. 

 

4개 정도의 서버를 각 라우터에 추가해주었다. (방식은 S1 만들때와 동일한 방식)

 

각 서버와 라우터 장비마다 IP 설정 추가해주기

 

※ 이때 서버가 추가 된 것이기 때문에 S22 ~ S55에 stub network 추가도 잊지 말아줘야 한다.

-> ip route 0.0.0.0 0.0.0.0 (해당 ip ) . 254

R2, R3, R4, R5에 ip 주소 추가 , S22~S55까지 주소만 추가 해주고 핑을 때리면 당연히 route 경로 주소가 없기 때문에 핑이 안나간다.

 

※ 각 장비의 경로를 고려하면서 routing table에 주소를 추가해준다. 

 

ex1) S1 - S22 사이의 통신 

 

S1 - 나가는 경로가 하나이기 때문에 따로 routing table에 주소를 적어주지 않아도 ok

R1 

ip route 2.2.2.0 255.255.255.0 1.1.12.2 

- S22로 가는 경로가 하나만 존재

설정 추가 후 인접 핑 확인

 

R2 경로에서도 routing table 확인 및 인접 핑 확인

 

default 경로 확인 및 인접 핑 확인

 

※ S22까지는 도착, 이제 S1으로 돌아가는 과정 

 

R2에서 11.1.1.0으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확인
다시 핑을 찍어보면 핑이 잘 나갔다가 돌아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위와 같은 방식을 고려하면서 나머지 서버들도 각자 routing table에 주소를 추가해준다. 

 

 

※ S1에서 S22 ~ S55 서버에 핑을 전송하기 위한 router 경로 설정

 

R1


ip route 2.2.2.0 255.255.255.0 1.1.12.2
ip route 3.3.3.0 255.255.255.0 1.1.12.2
ip route 4.4.4.0 255.255.255.0 1.1.12.2
ip route 5.5.5.0 255.255.255.0 1.1.12.2

 

R2

 

 (floating 과정 - longest match rule에 의해서 통신)


ip route 3.3.3.0 255.255.255.0 1.1.23.3 
ip route 4.4.4.0 255.255.255.0 1.1.27.7
ip route 4.4.0.0 255.255.0.0 1.1.23.3
ip route 5.5.5.0 255.255.255.0 1.1.27.7
ip route 5.5.0.0 255.255.0.0 1.1.23.3


R3


ip route 4.4.4.0 255.255.255.0 1.1.34.4
ip route 4.4.0.0 255.255.0.0 1.1.37.7
ip route 5.5.5.0 255.255.255.0 1.1.27.7
ip route 5.5.0.0 255.255.0.0 1.1.34.4


R4


ip route 5.5.5.0 255.255.255.0 1.1.45.5
ip route 5.5.0.0 255.255.0.0 1.1.47.7


R7


ip route 4.4.4.0 255.255.255.0 1.1.47.4
ip route 5.5.5.0 255.255.255.0 1.1.57.5

 

※ S2에서 S22 ~ S55 서버에 핑을 전송하기 위한 router 경로 설정 (역방향)

 

R6
ip route 2.2.2.0 255.255.255.0 1.1.56.5
ip route 3.3.3.0 255.255.255.0 1.1.56.5
ip route 4.4.4.0 255.255.255.0 1.1.56.5
ip route 5.5.5.0 255.255.255.0 1.1.56.5


R5
ip route 2.2.2.0 255.255.255.0 1.1.57.7
ip route 2.2.0.0 255.255.0.0 1.1.45.4
ip route 3.3.3.0 255.255.255.0 1.1.57.7
ip route 3.3.0.0 255.255.0.0 1.1.45.4
ip route 4.4.4.0 255.255.255.0 1.1.45.4
ip route 4.4.0.0 255.255.0.0 1.1.57.7


R4
ip route 2.2.2.0 255.255.255.0 1.1.47.7
ip route 2.2.0.0 255.255.0.0 1.1.34.3
ip route 3.3.3.0 255.255.255.0 1.1.34.3
ip route 3.3.0.0 255.255.0.0 1.1.47.7


R3
ip route 2.2.2.0 255.255.255.0 1.1.23.2
ip route 2.2.0.0 255.255.0.0 1.1.37.7


R7
ip route 2.2.2.0 255.255.255.0 1.1.27.2
ip route 2.2.0.0 255.255.0.0 1.1.37.3
ip route 3.3.3.0 255.255.255.0 1.1.37.3

 

 

=================================================================================

 

각 장비의 확인 명령어로 조회 했을 때 결과

 

HO_R1#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2.2.2.0 255.255.255.0 1.1.12.2
ip route 3.3.3.0 255.255.255.0 1.1.12.2
ip route 4.4.4.0 255.255.255.0 1.1.12.2
ip route 5.5.5.0 255.255.255.0 1.1.12.2
ip route 22.1.1.0 255.255.255.0 1.1.12.2


KT_R2#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3.3.3.0 255.255.255.0 1.1.23.3
ip route 4.4.0.0 255.255.0.0 1.1.23.3
ip route 4.4.4.0 255.255.255.0 1.1.27.7
ip route 5.5.0.0 255.255.0.0 1.1.23.3
ip route 5.5.5.0 255.255.255.0 1.1.27.7
ip route 11.1.1.0 255.255.255.0 1.1.12.1
ip route 22.1.0.0 255.255.0.0 1.1.23.3
ip route 22.1.1.0 255.255.255.0 1.1.27.7

IX_R3#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2.2.0.0 255.255.0.0 1.1.37.7
ip route 2.2.2.0 255.255.255.0 1.1.23.2
ip route 4.4.0.0 255.255.0.0 1.1.37.7
ip route 4.4.4.0 255.255.255.0 1.1.34.4
ip route 5.5.0.0 255.255.0.0 1.1.34.4
ip route 5.5.5.0 255.255.255.0 1.1.27.7
ip route 11.1.0.0 255.255.0.0 1.1.37.7
ip route 11.1.1.0 255.255.255.0 1.1.23.2
ip route 22.1.0.0 255.255.0.0 1.1.34.4
ip route 22.1.1.0 255.255.255.0 1.1.37.7


IX_R4#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2.2.0.0 255.255.0.0 1.1.34.3
ip route 2.2.2.0 255.255.255.0 1.1.47.7
ip route 3.3.0.0 255.255.0.0 1.1.47.7
ip route 3.3.3.0 255.255.255.0 1.1.34.3
ip route 5.5.0.0 255.255.0.0 1.1.47.7
ip route 5.5.5.0 255.255.255.0 1.1.45.5
ip route 11.1.0.0 255.255.0.0 1.1.34.3
ip route 11.1.1.0 255.255.255.0 1.1.47.7
ip route 22.1.0.0 255.255.0.0 1.1.47.7
ip route 22.1.1.0 255.255.255.0 1.1.45.5

SK_R5#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2.2.0.0 255.255.0.0 1.1.45.4
ip route 2.2.2.0 255.255.255.0 1.1.57.7
ip route 3.3.0.0 255.255.0.0 1.1.45.4
ip route 3.3.3.0 255.255.255.0 1.1.57.7
ip route 4.4.0.0 255.255.0.0 1.1.57.7
ip route 4.4.4.0 255.255.255.0 1.1.45.4
ip route 11.1.0.0 255.255.0.0 1.1.45.4
ip route 11.1.1.0 255.255.255.0 1.1.57.7
ip route 22.1.1.0 255.255.255.0 1.1.56.6

BO_R6#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2.2.2.0 255.255.255.0 1.1.56.5
ip route 3.3.3.0 255.255.255.0 1.1.56.5
ip route 4.4.4.0 255.255.255.0 1.1.56.5
ip route 5.5.5.0 255.255.255.0 1.1.56.5
ip route 11.1.1.0 255.255.255.0 1.1.56.5

IX_R7#show run | in ip route
ip route 2.2.0.0 255.255.0.0 1.1.37.3
ip route 2.2.2.0 255.255.255.0 1.1.27.2
ip route 3.3.3.0 255.255.255.0 1.1.37.3
ip route 4.4.4.0 255.255.255.0 1.1.47.4
ip route 5.5.5.0 255.255.255.0 1.1.57.5
ip route 11.1.0.0 255.255.0.0 1.1.37.3
ip route 11.1.1.0 255.255.255.0 1.1.27.2
ip route 22.1.0.0 255.255.0.0 1.1.47.4
ip route 22.1.1.0 255.255.255.0 1.1.57.5

 

 

-> 모든 장비에 copy run start 명령어를 입력해서 지금까지 한 설정들을 저장한다.

 

-> gns3 폴더도 save as 사용해서 다시 저장해준다. 

 

적당한 폴더명으로 저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