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CentOS

WEB 2

 

1. 이전에 구축한 DNS 서버와 WEB 을 활용하여 유저 홈 디렉토리 하위의 index.html을 보이게 연습

 

 

-> dns 확인 후 index.html을 glory 유저의 디렉토리로 옮긴다. 

 

 

페이지가 안뜬다.

 

-> firefox에 www.glory.com  주소 입력 시 glory 홈 디렉토리 내부의 index.html을 출력해보자!

 

 

-> vi /etc/httpd/conf/httpd.conf 열고 DocumentRoot 설정 파일을 홈 디렉토리 경로로 변경한다. 

 

 

 

설정 파일을 변경 했기 때문에 데몬 재실행 후 홈 디렉토리에 권한 보기, 권한은 700이고 소유권은 glory로 되어 있다. 

 

apache로 접근 할 때는 other 권한으로 접근 하기 때문에 웹 서버을 실행 하기 위해 other 부분에 x를 준다. 

 

 

 

 

정상 출력 되는 것을 확인

 

 

 

2.  여러가지 디렉터리로 이동하면서 웹 페이지 출력하는 연습

 

- 스냅샷 돌린 후 다시 해보기

 

 

- user                                       :    mainUser

- skel                                       :    /gl/

- 자동 생성 디렉터리              : public_html/

- DocumentRoot                     : ~main/public_html/

 

- www.cafehi.co.kr                  : 화면내용 cafehi 's mainPage

 

2 - www.cafehi.co.kr/menu        : 화면내용 cafehi 's menuPage

 

3 - www.caftehi.co.kr/menu/detail  : 화면 내용 cafehi 's menuDetail

 

4 - www.cafehi.co.kr/~user1           : user1 홈 디렉터리 내부 index.html

 

5 - www.cafehi.co.kr/user2/             : user2 홈 디렉터리 내부 index.html

 

2, 3 번은 httpd.conf 설정 파일 사용 하지 않고 해보기 

2, 5 번은 httpd.conf 설정 파일 마지막 줄 참조 

 

 

 

스냅샷 후에 필요한 패키지 재설치

 

named.conf 파일 설정 변경 -> nslookup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vi 편집기로 /etc/named.rfc1912.zones 설정 맨 하단에 정방향, 역방향 설정 추가

 

디렉터리 이동
cp로 localhost 설정 파일을 cafehi.zone 파일 생성 후 vi로 편집

 

cafehi.zone 파일 설정
똑같이 복사해서 역방향 설정 파일 생성

 

 

cafehi.rev 설정 파일

 

파일 생성 확인

 

소유권과 허가권 설정 변경 뒤 데몬 재실행
vi 편집기로 /var/resolv.conf에서 내 ip를 먼저 dns가 참조 할 수 있도록 설정
DNS 구성 끝

 

-> /gl 이라는 skel 디렉터리 생성 

 

 

1. /etc/skel 파일을 recursive 옵션을 사용하여 /gl 디렉터리로 복사 

 

2. mkdir로 /gl/public_html 디렉터리 생성 

 

skel 디렉터리가 /gl/ 경로인 mainUser 생성
apache 설정 파일을 vi로 연다.

 

 

httpd.conf 파일의 DocumentRoot 설정 파일을 홈 디렉토리로 변경

 

mainUser 홈디렉터리 하위의 public_html로 이동 후 index.html 생성
홈디렉터리 other 사용자의 x 권한 열어주어야 apache 접근 가능!
설정 파일 변경 끝나면 항상 데몬 재실행해서 적용해줘야한다.
머신에서 웹서버 동작 확인

 

 

2 - www.cafehi.co.kr/menu        : 화면내용 cafehi 's menuPage

 

3 - www.caftehi.co.kr/menu/detail  : 화면 내용 cafehi 's menuDetail

 

-> 하위 경로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DocumentRoot 설정 경로 하위에 폴더만 만들어주면 이동이 가능하다!

 

 

public_html 밑에 디렉토리와 index.html 파일 생성

 

경로 생성 확인
menu 하위 페이지 이동
menu/detail 페이지 이동

 

 

4 - www.cafehi.co.kr/~user1           : user1 홈 디렉터리 내부 index.html

 

httpd.conf 마지막 줄 확인

 

userdir.conf 파일 설정을 변경해주기

 

현재 disabled 상태
disabled 설정 주석 걸어주고 아래 public_html 설정 주석 해제

 

skel 파일 /gl/ 로 설정된 user1 사용자 생성

 

허가권 변경 및 public_html 하위에 index.html 파일 생성 후 데몬 재실행까지

 

 

user1의 홈디렉터리 경로로 웹페이지가 열렸다.

 

 

5 - www.cafehi.co.kr/user2/             : user2 홈 디렉터리 내부 index.html

 

위의 파일들 중에서 userdir 빼고 아무거나 써도 상관 없음 -> 여기서는 autoindex.conf 설정 파일 이용

 

 

vi로 파일 열어주고 다른 설정 빼고 Alias 부분만 변경한다.

 

user1 생성과 똑같은 절차로 진행
user2 홈디렉터리 경로로 웹페이지 확인

-> 이때 www.cafehi.co.kr /user2/ -> . Alias 설정 때문에 "/" 까지 꼭 붙여야한다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server 2  (0) 2022.09.01
DB server  (0) 2022.08.31
WEB  (0) 2022.08.30
DNS 구성  (0) 2022.08.30
DNS  (0) 202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