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이론

(7)
네트워크 이론 - 6 ※ Classless : network-id 를 유동적으로 관리 1) subnetting : network-id 줄이기 2) supernetting : network-id 늘리기 --> netmask , wildcard , prefix로 표현이 가능하다. 1. netmask로 표현하기 - netmask(subnetmask) = network-id + mask 합쳐진 의미로 ip 주소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인 network-id를 2진수 1로 표기해준다. ex) ㅎ ㅗ ㅇ ㄱ ㅣ ㄹ ㄷ ㅗ ㅇ -> ㅎ ㅗ ㅇ | 1 1 1[network] - ㄱ ㅣ ㄹ ㄷ ㅗ ㅇ | 0 0 0 0 0 0 [host] 2. wildcard로 표현하기 - wildcard = network-id + mask 합쳐진 의미로 ip ..
네트워크 이론 - 5 ※ IP 프로토콜의 구조 - 크기 : 20 byte [ TCP 20 + 40 = 60 = MPTC] [UDP 8byte] [RTP 12byte] [L2 header 18byte] 1) version : v4 , v6 2) IHL : 기본 헤더의 길이 3) TOS : 품질 정보 알려주는 정보 : 8bit 크기 * QoS [ 품질 서비스 : 폭주가 일어났을 때만 작동한다. 그 외에는 FIFO 방식으로 처리된다. ] - 차별화 서비스 : Diffservice (diffenrencial service) -> TOS 8bit 중에서 3bit만 사용해서 ip precedence 값을 나타낸다. [ 역할 : L2 마킹값(CoS , class of service)과 호환 ] -> TOS 8bit 중에서 6bit만 사용..
네트워크 이론 - 4 ※ TCP 1) TCP header = 기본 20 byte + 옵션 40 byte = 60 byte [MPTCP] * src port - dst port client ----> server [ src port : random port or dst port : well known port 일 경우에 client에서 server에게 보내는 트래픽] server ----> client [ src port : well known port or dst port : random port 일 경우에 server에서 client에게 보내는 트래픽] ============================================================================================ TCP..
네트워크 이론 - 3 OSI 7 Layer reference open [공개문서, 일반적으로 표준] -> 표준을 유도하려고 만들었다. 시스템 사이에서 연결하기 위해 7단계로 나눴다. 1. 개발이나 Troubleshooting이 용이하다. 2. 각 계층별로 사용될 용어가 정의가 되어 있기 때문에 표준으로 사용한다. 3. 호환성의 필요 L7 - L6 - L5 :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연어에 가깝다. -> 하위 계층에서 조각화(fragmentation) 한 것을 재조립(reassembly) L4 - L3 - L2 - L1 :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Incapsulation)하고 기계어에 가깝다. -> 조각화(fragmentation) ※ SDU : service data unit , 헤더를 뺀 본체의 데이터를 부..
네트워크 이론 -2 ※ 논리적 주소 와 물리적 주소 - 논리적 주소 : 관리자에 의해서 부여된 주소 [이름, 집주소], 변경 가능, end to end 연결 - routing , global적 의미 * IP (Ineternet protocol) 주소 * 내부용 주소 (private address) / 외부용 주소 (public address) 로 나눠진다.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주소 교환 ) NAT 로 통신 - 물리적 주소 : 처음부터 부여된 주소 [ ex 얼굴, 민증 번호], 변경 불가, hop by hop 연결 (각 장비의 물리적 주소를 찾아가며 하나씩 옮겨가는 형식) - switching , local적 의미 ( 물리적 주소가 같은 주소는 X) * MAC (media access..
네트워크 이론 - 1 - 네트워크 : 전기 신호 [ on off ] -> bit 데이터 이동 - 단위 이동 : bit > nibble (4bit) > byte (8bit = 1 octet ) > word ....... - 우리가 가진 데이터를 bit화 시켜서 이동해야한다. ※ 연결 네트워크를 수정할 때 window 실행창 (윈도우키 + R) : ncpa.cpl [네트워크 lan카드] , firewall.cpl [방화벽] , sysdm.cpl [시스템 속성] , calc [계산기] , cmd[명령 프롬프트] linux : /etc/network/interfaces ex) ' A ' 라는 데이터를 보낼 때 0101 형태로 보내야하는데 먼저 10진수로 정의하고 2진수로 변경해야한다. A = 65 [ASCII code 7bit 2^..
OSI 7 Layer 모델 & TCP/IP 모델 -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internetworking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했던 프로토콜의 집합 - 연구 과정이 많이 지연되면서 TCP/IP 모델이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 프로토콜이란? -> 통신을 위한 규칙과 약속들의 집합체 표준 프로토콜이란?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들은 서로 간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모든 장치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약속된 프로토콜이 표준 프로토콜 - OSI 7 Layer 모델은 이론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용도(연구용/개발용/교육용) - TCP/IP 모델은 실제 사용하는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이다. ※ OSI 7 Layer ->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토콜을 7개의 계층으로 구분 - 상위 계층(L5 ~ L7)과 하위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