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CentOS (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여러가지 가상 머신으로 DB , WEB, DNS 구현 ※ 머신 전부 초기화 후 4개의 가상 머신으로 진행 1. 128 : NS 2. 129 : web + XE 3. 130 : DB 4. 131 : Client - Client의 firefox에 www.cafehi.co.kr 입력해서 2번 머신의 XE화면 띄우기 * 추가로 설치하는 2개의 가상 머신은 selinux 설정 해제! 1. NS 구현 -> www record 같은 경우에 구현할 webserver ip 주소를 적어줘야 한다. (지금은 129 주소에 web을 구축 할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적어준다. 이렇게 해야 www.cafehi.co.kr을 쳤을때 주소를 129로 알려준다.) 2. web + xe 구현 3. DB 구현 ※ 이때 주의 해야할 것은 여기에 insert 하나 더 추가 해야한다. 호스트에서 접.. DB server 5 Xpress Engine - php 언어로 만들어져 있는 web page 제공 + web page의 내용물을 DB server에 저장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언제든지 web page 복구 가능 - DB server와 web server가 서로 다른 장치에 있어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 > web server는 서울에, DB server는 외국에 구성 - core와 각종 module로 구성 > core 설치 후 필요한 module을 조합하여 web page 생성 - DB server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테이블 접두사를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 분류 > core 설치 시 적혀 있는 table 접두사가 해당 Database에 없으면 table을 전부 생성, database에 해당 접두사가 붙어 있는 table.. DB server 4 phpmyadmin - mysql(or mariadb) server를 web page를 이용한 GUI 환경으로 제공 - web server와 DB server가 동일한 장치에 구성되어 있어야 사용 가능 - php 언어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web server가 php 언어를 알고 있어야 한다. - phpmyadmin은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php 언어 버전과 DB server 버전을 확인하여 알맞는 버전의 phpmyadmin을 사용해야 한다 * 사이트 www.phpmyadmin.net ※ php를 설치하게 되면 5.4 버전이 설치되기 때문에 위의 phpMyAdmin은 사용이 불가하다. ※ window에 다운받은 폴더이기 때문에 ftp를 통해서 리눅스 운영체제로 옮겨줘야한다. -> 페이지가 살짝 부실해보.. DB server 3 ※ 연습하기 2 1. 스냅샷으로 초기화 한 후에 진행 - userglory 만들고 dbglory 대상으로 모든 권한을 부여한다. - userglory 접속해서 권한을 확인한다! - root 암호 지정 및 익명 사용자 관련 정보도 삭제한다. 2. - user : mainUser - 자동생성디렉토리 : public_html (DocumentRoot를 사용한다.) - 도메인 : www.cafehi.com - 화면 내용 : Cafehi 's Main Page - nameserver와 web server 구성 DB server 2 ※ 연습하기 DB server 내부 정리 후 진행 D / B : dbtest user : usertest ----- root 로그인 하여 진행 ----- ----- usertest로 로그인 하여 진행 ------ table : tbtest field : num, name, addr, phone values : 3개 이상 show databases, select * from tbtest 로 확인 1. phone 컬럼이 10으로 나오는 이유 : 컬럼 데이터 타입은 int 형인데 insert로 넣어준 데이터 타입은 문자열 형식이다. 010-1111-1111 -> 중간에 ' - ' 는 연산 식으로 보기 때문에 처음 ' - ' 앞까지 입력 되고 뒤에는 다짤려서 보인다. 010 까지만 보이는데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 DB server DB server - Database server, 데이터베이스를 모아놓은 서버 - 스마트폰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인터넷의 활용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무수히 많은 데이터 생성 > 많은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서 database를 사용 - CentOS 6버전까지는 mysql이라는 DB server를 무료로 사용했으나 mysql이 유료화되면서 CentOS 7버전부터는 mariadb 사용 * 정보 패키지 : mariadb-* 데몬 : mariadb 방화벽 : service=mysql 설정 파일 : /etc/my.cnf (DB server 동작에 관련된 파일) mysql (DB server 내부 database, DB server에 대한 각종 설정 저장) -접속 mysql -u DB계정 -.. WEB 2 1. 이전에 구축한 DNS 서버와 WEB 을 활용하여 유저 홈 디렉토리 하위의 index.html을 보이게 연습 -> dns 확인 후 index.html을 glory 유저의 디렉토리로 옮긴다. -> firefox에 www.glory.com 주소 입력 시 glory 홈 디렉토리 내부의 index.html을 출력해보자! -> vi /etc/httpd/conf/httpd.conf 열고 DocumentRoot 설정 파일을 홈 디렉토리 경로로 변경한다. 설정 파일을 변경 했기 때문에 데몬 재실행 후 홈 디렉토리에 권한 보기, 권한은 700이고 소유권은 glory로 되어 있다. apache로 접근 할 때는 other 권한으로 접근 하기 때문에 웹 서버을 실행 하기 위해 other 부분에 x를 준다. 2. 여러가지 .. WEB Web server - client에게 web page를 제공해주는 서버 > client가 web 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eb server에 접근하면 접근한 client에게 알맞은 web page를 전송하고, client는 전송 받은 페이지를 browser에 출력 - web page를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제공 정적 web page : client에게 기존에 만들어 놓은 page를 동일하게 제공할 때 사용 > html, java script 등으로 만든.. 동적 web page : client에게 매번 다른 page를 만들어서 제공할 때 사용 (client에서 접속한 사용자에 따라 알맞은 page를 만들어 제공) > JSP, PHP 등 사용 - web server 프로그램 중 점유율이 높..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