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UTING
- HO_R1 : 본사 라우터
- KT_R2, SK_R5 : 각 회사 근처에 ISP 업체, 여기서는 KT, SK로 가정한다.
- Internet_eXchange R3, R4 : 각각의 ISP를 연결해주는 업체 , IX 업체라고 부른다.
- BO_R6 : 부산에 있는 지사의 라우터
※ 가운데 IX_R7과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때 개수가 모자라기 때문에 추가해준다.
S1 -> S2 통신 가능하도록 routing을 해보자
※ 이때 각 라우터마다 헷갈리지 않게 장비번호가 낮은 순 -> 높은 순으로 ip를 부여한다. ex) R2와 R3은 1.1.23.0
※ show ip int b, show cdp nei, show ip route 명령어로 모든 장비의 ip가 잘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했다면 장비의 설정을 저장한다.
※ routing 정리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비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
1. 주소교환=주소광고+주소학습
1-1. static routing protocol : 필요한 정보를 관리자가 직접 알려주기
장점 : 불필요한 정보가 없다.
단점 : 수렴 = convergence = 망의 변화를 인지한다. = healthing check 안됨
1-1-1. 정적 static (경로가 하나)
1-1-2. 동적 static = floating static
-> 복수개 있을 때 평소에는 한쪽 경로로 가다가 다운되면 다른 경로를 찾는 것, 애초에 두 곳에 동시에 보내는 것은 데이터를 쪼개서 가야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 longest match rule
22.1.1.1 255.255.255.255 부산 서면 -> 제일 정확하다.
22.1.1.0 255.255.255.0 부산
22.1.0.0 255.255.0.0 경남
22.0.0.0 255.0.0.0 남쪽
* longest match rule에 따라 ip를 각 경로에서 나눠보고자 한다.
- 각 장비 configure terminal 입력
S1
ip route 0.0.0.0 0.0.0.0 11.1.1.254
S2
ip route 0.0.0.0 0.0.0.0 22.1.1.254
R1
ip route 22.1.1.0 255.255.255.0 1.1.12.2
R2
ip route 22.1.1.0 255.255.255.0 1.1.27.7 -> 가장 긴 매치를 먼저 보고
ip route 22.1.0.0 255.255.0.0 1.1.23.3 -> 다운되면 그다음 가장 긴 이 경로를 통해 가겠다.
ip route 11.1.1.0 255.255.255.0 1.1.12.1 -> 반대로 S2에서도 핑을 보낼 수 있기 대문에 11.1.1.0 대역의 ip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해준다.
R3
ip route 22.1.1.0 255.255.255.0 1.1.37.7
ip route 22.1.0.0 255.255.0.0 1.1.34.4
ip route 11.1.1.0 255.255.255.0 1.1.23.2
ip route 11.1.0.0 255.255.0.0 1.1.37.7
R4
ip route 22.1.1.0 255.255.255.0 1.1.45.5
ip route 22.1.0.0 255.255.0.0 1.1.47.7
ip route 11.1.1.0 255.255.255.0 1.1.47.7
ip route 11.1.0.0 255.255.0.0 1.1.34.3
R5
ip route 22.1.1.0 255.255.255.0 1.1.56.6
ip route 11.1.1.0 255.255.255.0 1.1.57.7
ip route 11.1.0.0 255.255.0.0 1.1.45.4
R6
ip route 11.1.1.0 255.255.255.0 1.1.56.5
R7
ip route 22.1.1.0 255.255.255.0 1.1.57.5
ip route 22.1.0.0 255.255.0.0 1.1.47.4
ip route 11.1.1.0 255.255.255.0 1.1.27.2
ip route 11.1.0.0 255.255.0.0 1.1.37.3
show run | in ip route
show ip route
stub network : 끝 단의 있는 장비들 ex) S1, S2를 부르는 명칭 , 나가는 출구가 하나 밖에 없는 것, 이때 stub network 장비들은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할 때 default route를 생성한다.
1-1-3. default route ==> 0.0.0.0 0.0.0.0 (내 장비나 PC의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된 ip를 제외한 모든 ip를 나갈 수 있게 하는 주소)
ip route 0.0.0.0 0.0.0.0 11.1.1.254 : 찾아가려는 주소가 이 장비를 벗어난다면 무조건 254로 나간다.
ip route 0.0.0.0 0.0.0.0 22.1.1.254
show ip route // show run | in ip route
※ default route 설정해주기
1-2. dynamic routing protocol : 정해진 규칙 (routing protocol)에 따라 동적-자동 학습
장점 : 라우팅 수렴이 된다. = healthing check
단점 : 불필요한 정보 발생 -> 경로필터링, 조정, 요약, 인증
2. 최적경로연산
2-1. bellman ford algorithm
2-2. dijkstra algorithm
2-3. D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