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itching
- 동일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 데이터 교환
1. IP 주소가 같은 대역
2. 동일 VLAN
3. arp table 구축(다른 네트워크 대역 - routing에서는 ip table이 구축되야하는 차이가 있다.)
-> 통신 하려는 상대(peer)의 ip 주소와 mac 주소의 mapping
* arp 구축 과정, vlan 개념, access port, trunk port --> trunk 보안, 필터링 공부
* 서로 다른 vlan간의 통신 -> inter vlan, SVI 공부
- Cisco Switching 구축하기
* 실제로 Switch를 구축하려 하면 복잡한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지금은 간단히 router 장비에 switch 모듈을 꽂아서 진행하겠다. 실제 장비들보다는 조금 느릴 수 있지만 공부 목적이기 때문에 상관 없을 것 같다.
※ ASW ? -> 인프라 구축 레이어 중 하나이다.
- 인프라를 구축 할 때 3개의 계층으로 나눈다.
1. access layer
- 맨 끝단에 있는 고객 계층 , Access Switch와 연결되어 있다.
2. distribute layer
- 여러개의 Access Switch와 연결되어 다시 ISP 쪽으로 분배해주는 분배 Switch 역할
3. core layer
- IX(Internet Exchange)라는 업체가 core 역할을 한다. (국내에는 한 4개 정도?)
- IX와 연결되어 있는 수 많은 ISP 업체(kt, lg, sk 등등)로 인터넷을 하기 위한 코어 계층
- 이때 인터페이스는 slot 1에 추가한 switch 인터페이스와 연결해야한다. Fa 0/0 슬롯은 라우터 인터페이스라 이용하면 안된다.
- c3660 장비만 슬롯 장착하고 change symbol 등등 이용해서 위와 같이 구축 한다.
- S2에도 설정해준다.
-> 현재는 내 MAC주소만 적혀 있다. 만약에 S1에서 S2로 핑을 보내면 S1의 arp table에서 상대 MAC주소를 학습 하고 핑을 보낸다.
※ 당연히 사전에 wireshark가 설치가 완료 되어 있어야 연동되서 열린다.
※ 여기서 arp_request <------> arp_reply 과정 후에 핑이 시작되는 과정이 중요하다.
* .!!!! : arp table 구축된 뒤 ' ! ' 가 나간다.
※ arp request와 arp reply로 arp spoofing도 알아낼 수 있다.
-> request는 한번만 보냈는데 reply가 굉장히 많이 나왔다면 그건 arp spoofing을 의심할 수 있다. (보안)
* arp spoofing : ip와 mac의 mapping을 속인다.
※ arp request 안의 내용 확인 하기
- L2 header 안에 broadcast ff: ff: ff: ff: ff: ff: -> switch 장비가 검색해서 그 장비가 수신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frame 전송하기 [ 수신 포트와 동일 vlan에 속하는 ]
- 수신할 end point 장비는 Target MAC address인 00 : 00 : 00 : 00 : 00 : 00 을 수신한다. MAC 주소를 모른다는 의미로 알아듣고 자신의 MAC주소를 전달한다.
※ arp reply 안의 내용 확인 하기
S1 - arp request 생성, 전송
S2 - arp reply 생성, 전송
중계 스위치 - mac 학습 -> mac table 구축 (통신 하려는 장비의 mac 주소가 어떤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적어두기)
※ 통신 하기 위한 조건
L3 - routing을 하기 위해서는 routing table을 구축해야한다.
L2
1) 스위치장비에 mac table을 구축 - 이제 해보려는 과정
2) end host에 arp table을 구축 - 위에서 arp request, arp reply 과정
※ MAC Table
* ASW_1F 이 arp request를 받았을 때
-> request를 받은 port를 제외한 모든 연결된 interface port에 수신한 Frame을 복사해서 전송한다. (broadcasting)
-> 이와 같이 broadcast 방식으로 통신하는 방식을 switch 에서는 flooding 시킨다라고 표현한다.
* DSW
-> 원래 통신 과정에서 MAC주소가 없다면 통신이 되지 않았다. 그러면 지금 S1 -> S2로 핑을 때리면 핑이 안나갈까?
※ 왜 이런지 찾아보니 가상 공간을 이용하다보니 mac주소가 잊혀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원래는 주소 학습이 되어 있는게 맞다.
※ 정리하기
S1 -> S2 switch 통신 하기 위한 조건
1. 동일 ip 대역
2. 동일 vlan
3. end host의 arp table 구축
4. 중계 스위치에서 mac table 구축
-> 이 중에서 한개라도 안되어 있다면 통신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