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sql(or mariadb) server를 web page를 이용한 GUI 환경으로 제공
- web server와 DB server가 동일한 장치에 구성되어 있어야 사용 가능
- php 언어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web server가 php 언어를 알고 있어야 한다.
- phpmyadmin은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php 언어 버전과 DB server 버전을 확인하여 알맞는 버전의 phpmyadmin을 사용해야 한다
* 사이트
www.phpmyadmin.net
사이트 접속 후 상단에 download 탭 클릭스크롤 하다보면 다운로드 버전이 확인 가능한데 최신 버전은 mariadb 5.5 이상과 php 5.5.이상을 요구한다.mariadb 버전은 가능하다.
※ php를 설치하게 되면 5.4 버전이 설치되기 때문에 위의 phpMyAdmin은 사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예전 버전과도 호환이 되는 파일로 다운 받기 위해서 Older Releases 메뉴의 seperate files page 클릭최신 버전부터 예전 버전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페이지가 열린다.그중 자신의 php 버전과 mariadb 버전에 맞는 all-languages.zip 파일을 다운 받으면 된다.
※ window에 다운받은 폴더이기 때문에 ftp를 통해서 리눅스 운영체제로 옮겨줘야한다.
리눅스에 vsftpd 패키지 설치데몬 재실행 및 방화벽 허용 설정
윈도우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 있는 사용자 홈디렉터리 밑에 Downloads 파일로 이동
내 리눅스 ip로 ftp 접속하기경로를 이미 download로 이동한 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put 명령어로 보내준다.잘 보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mainUser/public_html/ 으로 옮겨준다.unzip 명령어를 사용해서 압축 해제이름이 너무 길어서 mv 명령어로 이름을 짧게 만들어준다./pma/ 경로로 이동해보면 위와 같이 홈페이지가 나온다.
-> 페이지가 살짝 부실해보이는 느낌 .... 왜? index.html은 없고 전부 .php로 있기 때문에 httpd.conf 파일에서 추가해줘야 한다.
/etc/httpd/conf/httpd.conf 파일 설정에 들어가서 IfModule 설정에 index.php를 추가한다.
설정을 건드렸으니 데몬 재실행새로 고침 해보니 뭔가 바뀌긴 바뀐거 같은데 그래도 여전히 소스파일로만 가득 차 있는 모습
-> 위와 같이 뜨는 이유 : php 언어를 읽어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php 언어를 몰라서)
알 수 있도록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 설치 하려고 하니 mysql과 mysqlnd 패키지가 충돌 발생했다는 에러가 뜬다.
- 아래 설명대로 -- skip-broken 옵션을 같이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뜬다.
재시도 해보기정상적으로 설치
버전이 5.4이다. 아까 phpmyadmin 설치 하려 할때 고려했던 버전 호환 문제가 여기 때문이다.
php 적용을 위해 데몬 재실행새로고침 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바뀐다.
db에서 설정한 root 암호로 로그인
GUI 환경으로 DB를 다룰 수 있는 모습
※ phpmyadmin 에서 GUI로만 작업해보기 (SQL은 사용하지 않는다.)
DB : dbgl
user : usergl
------ root 로그인 -------
table : tbgl
field : num, name, age, phone
values : 5개 이상 넣어보기
mysql 데이터베이스에 user 테이블의 정보 확인
똑같이 적어주고 권한은 다 N으로 해서 생성밑쪽의 실행 해서 적용유저가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새로운 DB 생성 및 utf8 설정까지 하여 한글까지 보이도록 설정하고 만든다.설정을 아직 안했기 때문에 db 설정 끝낸 후에 테이블을 만든다.db에 대한 유저 권한 설정을 똑같이 해준 상태로 삽입한다.db 권한 설정
-> usergl 로 접속해서 dbgl에 테이블 만들어보기
usergl로 접속하려고 하면 로그인 에러 발생
데몬 재실행을 해야 설정 바꾼 것이 적용된다.로그인 성공
tbgl 테이블 생성필드 생성데이터 삽입sql 실행 된 것을 확인
※ 사용자 추가는 꼭 mysql db user table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GUI 환경에도 사용자라는 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