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CentOS

여러가지 가상 머신으로 DB , WEB, DNS 구현

※ 머신 전부 초기화 후 4개의 가상 머신으로 진행

 

1. 128         :   NS                       

 

2. 129         :   web + XE

 

3. 130         :   DB

 

4. 131         :   Client

 

- Client의 firefox에 www.cafehi.co.kr  입력해서 2번 머신의 XE화면 띄우기

 

* 추가로 설치하는 2개의 가상 머신은 selinux 설정 해제!

 

 

1. NS 구현 

 

/etc/named.conf
/etc/named.rfc1912.zones

 

경로 이동

 

-> www record 같은 경우에 구현할 webserver ip 주소를 적어줘야 한다. (지금은 129 주소에 web을 구축 할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적어준다. 이렇게 해야 www.cafehi.co.kr을 쳤을때 주소를 129로 알려준다.)

 

 

역방향 만들기
마찬가지로 구현

 

 

방화벽까지

 

2. web + xe 구현 

 

ssh 접속

 

관련 패키지 한꺼번에 설치

 

ftp로 파일 가져오기
129로 ftp 접속

 

전송

 

파일 이동 시키기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에 설정 추가

 

php 추가

 

데몬 재실행

 

129 머신에 들어가서 web 미리 설정해놓기

 

권한 변경
여기까지 설정

 

웹서버 방화벽 열어 놓는다. 클라이언트가 나중에 web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3. DB 구현 

 

 

ssh 접속

 

 

 

필요없는 데이터 삭제

 

db와 user 생성

 

※ 이때 주의 해야할 것은 여기에 insert 하나 더 추가 해야한다. 호스트에서 접속하는 유저이지만 이 db서버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웹서버가 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web server의 IP를 호스트로 사용하는 userglory 정보가 필요하다!

 

원래 쓰던거는 db 장치에서 접속할 수 있게 만드는 유저 , 하나는 web에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유저 하나 

 

 

둘다 db 권한 주기

 

 

 

129 주소 쪽에 설치 과정에 있던 곳에  db정보를 입력한다.

 

 

 

 

 

 

4. client(131)쪽에서 page 띄우기 

 

현재 .2 ip 쪽에 물어보도록 설정 되어 있기 때문에 ip 설정부터 조정한다. 

 

앞쪽에 해당 DNS를 구현한 머신의 ip 주소 입력한다.

 

껐다 켜서 설정 적용시키기

 

131 주소에서 www.cafehi.co.kr 도메인으로 접근 했더니 웹이 잘 나왔다.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server 5  (0) 2022.09.01
DB server 4  (0) 2022.09.01
DB server 3  (0) 2022.09.01
DB server 2  (0) 2022.09.01
DB server  (0)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