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Language

(45)
printf를 이용한 출력 형식화된 출력 - printf() ▶ println()의 단점 - 출력 형식 지정 불가 1) 실수의 자리수 조절 불가 - 소수점 n자리만 출력하려면? System.out.println(10.0/3); // 3.333333.... -> println은 소수점을 일정 자리에서 끊을 수 없다. 2) 10진수로만 출력 가능하다. 만약 8진수나 16진수로 출력하려 한다면? System.out.println(0x1A); // 16진수 값인 1A 값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26이라는 10진수가 출력된다. ▶ printf()로 출력 형식 지정 가능 System.out.printf("%.2f", 10.0/3); // 3.33 System.out.printf("%d", 0x1A); // %d = 10진수로 출력 = 26 ..
기본형의 종류와 범위 논리형 (Boolean) True와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가지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 문자형(Char)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정수형 정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사용하는 것은 int와 long이며, byte는 이진 데이터를 다루는 데 사용되며, short은 c언어와의 호한을 위해 사용된다. (잘 쓰이지 않는다.) 실수형 실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float와 double이 있다. 기본형의 크기 종류 \ 크기 1 byte 2 byte 4 byte 8 byt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 char : 자바에서는 2byte 문자 체계인 유니코..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과 참조형 값의 타입 1. 문자 : char 2. 숫자 2-1. 정수 : byte, short, int, long 2-2. 실수 : float, double 3. 논리 : boolean ▶ 기본형(Primitive type) - 값의 타입인 8가지(boolean, float, double, byte, short, int, long, char) 고정 - 실제 값을 저장 ▶ 참조형(Reference type) -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String, System 등) , 얼마든지 추가 가능하다. - 메모리 주소를 저장(4 byte 또는 8 byte) * 32bit JVM일 경우 : 4byte로 표현 가능, 가능한 최대 값은 약 40억 byte 4byte의 참조 변수로는 40억 byte = 4GB의 메..
리터럴의 접두사와 접미사 리터럴의 접두사와 접미사 구분 종류 리터럴 접미사 논리형 false, true 없음 정수형 123, 0b0101, 077, 0xFF, 100L L 실수형 3.14, 3.0e8, 1.4f, 0x1.0p-1 f(float), d(double) 문자형 'A', '1', '\n'(개행문자) 없음 문자열 "ABC", "123", "A", "true" 없음 * 접두사와 접미사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0xFF -> 0XFF, 0b0101 -> 0B0101 모두 가능) 논리형 boolean power = true; // true or false만 저장 가능, 그 외는 모두 에러 발생 문자형과 문자열 char ch = 'A'; // 문자형 String str = "A"; // 문자열 정수형 byte b = 1..
변수, 상수, 리터럴 변수 - 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 변경이 가능하다. int Passion = 100; // Passion은 변수 Passion = 200; 상수 - constant 한 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 변경이 불가능하다. final int MAX = 100; // MAX는 final로 인해 상수가 되었다. MAX = 200; //에러가 발생한다. 리터럴 - literal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기존의 상수와 똑같은 개념이다. 그렇다면 왜 상수라는 이름이 아닌 리터럴이라는 이름을 정의 해놓았을까? -> 답은 간단하다. 이미 상수라는 개념으로 한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라고 정의했기 때문에 똑같은 개념을 구분하기 위해 리터럴이라는 이름으로 쓰인다. int score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