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Language

(45)
사칙 연산자, 산술 변환 사칙 연산자 class Ex3_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int b = 4; System.out.printf("%d + %d = %dn", a, b, a + b); // 14 System.out.printf("%d - %d = %dn", a, b, a - b); // 6 System.out.printf("%d * %d = %dn", a, b, a * b); // 40 System.out.printf("%d / %d = %dn", a, b, a / b); // 10 / 4 = 2 System.out.printf("%d / %d = %fn", a, (float)b, a + (float)b); // 10 / 4.000000 = 2.50..
형변환 연산자, 자동 형 변환 형변환 연산자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사용 방법 : (타입) 피연산자 double d = 85.4; int score = (int)d; int score = (int)85.4; int score = 85; // 정수형으로 형변환해서 소수점은 사라진다. // 주의! d의 값은 85.4로 변하지 않는다! score의 값이 저장된 것 변환 수식 결과 int --> char (char)65 'A' char --> int (int) 'A' 65 float --> int (int)1.6f 1 (반올림이 되지 않는다.) int --> float (float)10 10.0f * 숫자 65를 char로 형변환 하면 'A'가 나오는 이유는 유니코드 문자로 변환 가능하기 때문이다. ..
증감 연산자, 부호 연산자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감소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타입 설명 사용 예시 전위형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j = ++i; 후위형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j = i++; " 증감 연산자가 독립적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전위형과 후위형의 차이는 없다. " // 독립적으로 사용하면 전위형과 후위형 증감 연산자는 차이가 없다. ++i; i--; // 식이 사용될 경우 // 이해를 위해 따로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j = ++i; // 전위형 ++i; // 증가 후에 j = i; // 참조하여 대입한다. j = i++; // 후위형 j = i // 참조하여 대입한 후에 i++; // 증가한다. 부호 연산자 ' - ' 는 피연산자..
연산자의 우선순위 연산자의 우선순위 하나의 식(expression)에 연산자가 둘 이상 있을 때 , 어떤 연산을 먼저 수행할 지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 만약 , 수동으로 결정하고 싶다면 해당 피연산자와 연산자에 괄호() 를 넣으면 된다. 종류별 우선 순위 종류 결합 규칙 연산자 우선순위 단항 연산자 ◀--------------- ++ , -- , + , - , ! (type) 높음 산술 연산자 ---------------▶ * , / , % ---------------▶ + , - ---------------▶ 비교 연산자 ---------------▶ , = , instanceof ---------------▶ == , != 논리연산자 ---------------▶ & ---------------▶ ^ ---------..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자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ex) + , - , * - 피연산자 연산자의 연산 수행 대상 ex) x + 3 연산자와 피연산자 y = 4 * x + 3; // x의 값이 5라면, y의 값은 23이 된다. System.out.println(y); // y의 값인 23이 화면에 출력된다. // 값을 담아서 출력하지 않고 직접 출력도 가능하다. System.out.println(4 * x + 3); // x의 값이 5라고 가정 // System.out.println(23); 결과 값과 동일 연산자의 종류 종류 연산자 설명 산술 연산자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 > (오른쪽 비트 연산) 사칙 연산과 나머지 연산 비교 연산자 > , = ,
타입 간의 변환 방법 문자와 숫자 간의 변환 char num = '3'; // 문자형 3을 숫자로 바꾸려면? num - '0'; // 문자형 0을 빼준다. int num = 3; // 정수형 3을 문자로 바꾸려면? num + '0'; // 문자형 0을 더해준다. 문자열로의 변환 int num = 3; // 정수형 3을 문자열로 바꾸려면? num + ""; // 빈 문자열을 더해주면 가능 char num = 3; // 문자형 3을 문자열로 바꾸려면? num + "" // 마찬가지로 빈 문자열을 더해준다.​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String num = "3"; // 문자열 3을 정수형으로 바꾸려면? Integer.parseInt("3"); // 정수 형변환을 해주면 가능하다. String num2 = "3.14"; // 문자열 ..
정수형의 오버플로우 오버플로우의 정의 10진수 0000 ~ 9999 + 1 ▶ 오버 플로우 발생 2진수 0000 ~ 1111 + 1 ▶ 오버 플로우 발생 부호 있는 정수, 부호 없는 정수의 오버플로우 n 비트로 표현 할 수 있는 정수의 개수 ※ 부호 있는 정수와 부호 없는 정수는 표현하는 범위만 다를 뿐 똑같이 약 6만개 표현 가능하다. [ 자바의 정석 - 기초 유튜브 강의 영상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XXq_uCic22Y&list=PLW2UjW795-f6xWA2_MUhEVgPauhGl3xIp&index=21
화면으로부터 입력받기 화면에서 입력받기 - Scanner Scanner ? 화면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 사용 방법 ? 1) import문 추가 - import java.util.*; 2) Scanner 객체를 생성해야만 사용 가능하다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 System.in : 화면으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3) Scanner 객체를 사용 import java.util.*;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anner.nextInt(); // 화면에서 입력받은 정수를 num에 저장 String input = scanner.nextLine(); // nextLine은 한 행을 의미하며..